목록부동산 (16)
글쓰는 아주미
3기 신도시 공급계획 현정부 들어와서 부동산 집값이 폭등하고 최근 전세까지 매물 잠김현상이 지속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청약에 관심이 매우 많다. 30대인 내주변만 봐도 집 매매 혹은 청약을 기다려야 하는지 관심이 많은데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3기 신도시 공급지역은 어디인지 청약은 언제부터 할수 있는지 알아보겠다. 아래의 사이트로 들어가면 3시 신도시 지역의 정보를 자세히 알수 있다. 현재 수도권 30만호 계획중 신도시 5곳 모두 포함하여 24만호 지구지정이 완료되었다. https://3기신도시.kr/ 3기 신도시 지역은? 3기 신도시 지역 지구명을 살펴보면 남양주 왕숙, 왕숙2, 하남 교산, 인천 계양, 고양 창릉, 부천 대장, 과천 과천, 안산 장상 이 있다. 면적과 세대수는 각각 다르며 남양수 왕숙과 ..
20대, 30대가 넘어가면서 혹은 결혼을 하고부터 가장 관심있게 보는것이 '청약'일 것이다. 특히 현정부 들어와서 부동산 가격이 폭등 하기도 했고 최근 김현미 장관이 30대에게 영끌하지 말고 청약 기다리라고 말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솔직히 이 발언 나도 어이가 없었...)청약 말이다. 아파트 가격 상승율이 높지 않을때에는 인기없는 지역은 미분양도 많았지만 지금은 규제 지역이냐 아니냐에 따라 인기가 없어도 높은 경쟁율을 보여주고 있다. 서울 안의 기본 경쟁율은 이미 300대를 돌파한지 오래이다. 그렇다면 청약을 할때 가점제 적용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청약가점제 적용기준 1. 무주택 기간 2. 부양가족 3. 청약통장 가입기간 총 3가지 항목으로 나누어볼수 있다. 1. 무주택 기간 점수산정(..
대지지분이란? 대지지분은 단지전체 면적을 단지 전체 가구수로 나누어 등기부등본에 표기되는 면적을 말한다. 아파트나 빌라를 구입시, 건물에 들어가 살다보니 땅을 사고있다는 개념이 없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실제로 확인해보면 내가산 아파트나 빌라에 해당하는 토지가 있고, 토지면적이 등기부등본에 표기되어져 있다. 그럴일은 거의 없겠지만 만에하나 건물이 멸실되어 없어져 땅만 남았을 경우 대지지분은 전체 땅중에서 내가 차지하는 소유하는 몫이 대지지분이 된다. 대지지분은 면적 얼마라고 표시되어 있지않고 대지권 비율로 표기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이 비율로만 되어있어서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대지지분의 공식 대지권비율로만 등기부등본에 표기가 되어있어 놓치는 경우가 많은데 대지지분을 구하는 공식을 알아보자. 대..
부동산 매매, 전세, 임대차등 다양한 방식의 거래형식이 있는데 거래진행시 내가 내야될 돈을 얼마일까? 매우 궁금할것이다. 요율을 제대로 모르는 사람은 대부분 계약서에 요율이 명시된것을 제대로 보지 않고 계약하는 사람이 많을것이다. 부동산법에서의 명확한 이름은 '부동산 중개보수'인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동산 중개수수료, 부동산 복비 라고 많이 일컫는다. 오늘은 중개보수의 상한요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 매매교환, 임대차 거래가액에 따라 상한요율이 다르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중개보수는 정액제가 아닌 상한요율이라는것이다. 오른쪽의 한도액은 아무리 상한요율을 낮춰도 최소한도액은 얼마라는것을 명시해주고 있는데 대부분 저정도 금액을 받는 부동산은 없을것이다. 또한 주택외에 오피스텔은 상한요..